미우라 요시즈미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미우라 요시즈미는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, 헤이지의 난에서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따랐으나 패배 후 미우라 씨의 가독을 이었다. 모치히토 왕의 거병 당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협력하여 이시바시 산 전투, 후지 강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, 요리토모 사후 13인의 합의제에 참여했다. 1200년, 가지와라 가게토키의 변에 연루된 후 사망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미우라씨 - 미우라 요시무라
미우라 요시무라는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무장으로, 주요 권력 투쟁에서 막부 측에 서서 활약하며 막부 안정에 기여했으나, 와다 요시모리의 난에서 배신,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암살 연루설, 쇼큐의 난 진압, 숙로 임명 등 정치적 수완과 교활한 면모를 동시에 보인 인물이다. - 미우라씨 - 미우라 야스무라
미우라 야스무라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,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도와 공을 세우고 조큐의 난에서 활약했으며, 호조 씨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켰다가 자결했다. - 1127년 출생 - 남송 효종
남송 효종은 북송 태조의 후손으로 고종의 양자가 되어 남송의 제2대 황제가 되었으며, 정치 개혁과 경제 안정, 금나라와의 화의를 통해 남송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만년에는 광종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다. - 1127년 출생 - 의종 (고려)
인종의 맏아들인 의종은 고려 제18대 왕으로, 즉위 초 왕권 강화를 꾀했으나 잦은 유희와 문신 우대로 무신정변을 초래하여 폐위 후 살해되었으며, 그의 치세는 무신정권 시대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되었다. - 1200년 사망 - 주희
주희는 송나라의 유학자로서 성리학을 집대성하여 동아시아 철학 및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, 이기론, 심성론, 거경궁리론 등을 정립하고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유교 경전 해석의 표준을 제시했다. - 1200년 사망 - 단지흥
단지흥은 대리국의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불교 사찰 복구와 방어 시설 건설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며, 김용의 무협 소설에서는 '남제'로 묘사되는 가상 인물이기도 하다.
미우라 요시즈미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씨명 | 미우라 씨 |
이름 | 미우라 요시즈미 |
이명 | 아라지로, 신스케 (가명) |
시대 | 헤이안 시대 말기 - 가마쿠라 시대 초기 |
출생 | 다이지 2년 (1127년) |
사망 | 쇼지 2년 1월 23일 (1200년2월 9일) |
묘소 | 요코스카시 오야베 약왕사 (현 청운사) |
관위 | 미우라노스케, 사가미슈고 |
막부 | 가마쿠라 막부 13인의 합의제 |
주군 | 미나모토 요리토모, 요리이에 |
씨족 | 간무 헤이시요시후미류 |
부모 | 미우라 요시아키, 지치부 시게쓰나의 딸 |
형제 | 요시무네, 요시즈미, 요시히사, 요시쓰라, 요시하루, 요시스에, 시게유키, 미나모토노 요시토모 측실, 하타케야마 시게요시 실, 가네다 요리쓰구 실, 나가에 요시카게 실 |
배우자 | 정실: 이토 스케치카의 딸 |
자녀 | 도모스미, 요시무라, 시게스미, 다네요시, 기타 |
2. 생애
미우라 요시즈미는 사가미 국미우라 군 야베 출신의 유력 호족인 미우라 씨의 일원으로, 가즈사노 쓰네즈미의 가관으로 원복하여 '요시즈미'라는 이름을 받았다.[1] 1159년 헤이지의 난에서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따랐으나[2], 헤이케에게 패하여 교토에서 고향으로 도망쳤다.
1164년 형 스기모토 요시무네가 사망하여 미우라 씨의 가독을 이었다.[1][2] 1180년 모치히토 왕의 거병 당시 다이반 역으로 재경 중이었으며, 이후 간토로 내려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참상하여 모치히토 왕 거병의 상세한 내용을 보고했다.[1][2]
이시바시 산 전투에서는 악천후로 참전하지 못하고, 유이가하마에서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에게 습격당했지만 이를 물리치고 미우라로 돌아갔다. 기누가사 성 전투에서 아버지 요시아키가 전사했지만, 요시즈미 등은 아와 국으로 피신했다.[4][5] 요리토모가 아와 국에 상륙한 후, 요시즈미는 나가사 즈네토모의 습격 계획을 간파하고 요리토모를 맞이했다.[1]
이후 요리토모에게 귀순한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등과 함께 가마쿠라에 들어갔으며,[1] 후지 강 전투 이후에는 헤이케 측에 가담했던 장인 이토 스케치카의 구명 탄원을 하여 그를 자신의 관리하에 두었다.[1] 요시즈미는 지바 쓰네타네, 가즈사 히로쓰네, 도이 사네히라 등과 함께 요리토모의 숙로(宿老)로서 중용되었으며, 이치노타니 전투, 단노우라 전투, 오슈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무공을 세웠다.
1190년 요리토모 상경 시 우콘에노다이쇼 배하 포의(布衣) 시종 7인 중 한 명으로 참진(参陣)을 수행했다.[7] 요리토모에게 고케닌 10명의 성공 추천을 받았으나, 아들 요시무라(義村)에게 상을 양보했다. 1199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사망한 후에는 13인의 합의제 일원이 되어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를 보좌했다.[7] 1200년 가지와라 가게토키의 변에서 가지와라 가게토키의 가마쿠라 추방에 가담하였고, 가지와라 일족 멸망 3일 후인 1월 23일에 74세로 사망했다.[7]
2. 1. 가문 배경 및 초기 활동
미우라 요시즈미는 사가미 국미우라 군 야베 출신으로, 미우라 씨는 이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유력 호족이었다. 가즈사노 쓰네즈미의 가관으로 원복하여 '요시즈미'라는 이름을 받았다.[1]1159년 헤이지의 난에서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따랐으나[2], 헤이케에게 패하여 교토에서 고향으로 도망쳤다. 조칸 2년 형 스기모토 요시무네가 사망하여 미우라 씨의 가독을 이었다.
2. 2. 미우라 씨 계승 및 요리토모 지지
1164년, 형 스기모토 요시무네가 사망하면서 미우라 씨의 가독(家督)을 이었다.[1][2]1180년 모치히토 왕의 거병 당시 다이반 역으로 재경(在京) 중이었다. 수습 후 간토로 내려가, 6월 27일에는 함께 다이반 역을 마친 지바 다네요리와 이즈 국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참상하여, 모치히토 왕 거병의 상세한 내용을 보고했다.[1][2]
이시바시 산 전투 당시에는 8월 22일에 미우라를 떠나 요리토모를 향했다.[3] 하지만 악천후로 인해 참전하지 못하고, 폭우로 인해 불어난 마루코 강(사카이 강) 부근에서 요리토모의 패전을 듣고 24일에 돌아갔다. 도중에 유이가하마에서 헤이케 측의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에게 습격당했지만 이를 물리치고 미우라로 돌아갔다. 이 사이에 가즈사 히로쓰네의 동생 가네다 요리쓰구가 합류했다. 그러나 26일에는 가와고에 시게요리와 에도 시게나가를 아군으로 삼은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에게 다시 습격당해 기누가사 성에서 방어, 기누가사 성 전투가 벌어졌다. 이 전투에서 아버지 요시아키가 죽임을 당했지만, 울면서 요시아키와 헤어진 요시즈미 등은 아와 국으로 건너갔다.[4][5] 같은 달 29일에는 요리토모도 상륙, 9월 3일 나가사 즈네토모가 습격을 계획했지만, 요시즈미는 이를 감지하고 맞이했다.[1]
이후 요리토모에게 귀순한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등과 함께 가마쿠라에 들어갔다.[1]
2. 3. 요리토모 정권에서의 활약
1180년,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거병했을 때, 요시즈미는 다이반 역 복무를 마치고 간토로 내려가 요리토모에게 모치히토 왕의 거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고했다.[1][2] 이시바시 산 전투에서는 악천후로 참전하지 못하고 요리토모의 패전 소식을 듣고 돌아가던 중 유이가하마에서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의 습격을 받았으나 물리치고 미우라로 돌아갔다.[3] 이후 기누가사 성 전투에서 아버지 요시아키가 전사했지만, 요시즈미 등은 아와 국으로 피신했다.[4][5]요리토모가 아와 국에 상륙한 후, 요시즈미는 나가사 즈네토모의 습격 계획을 간파하고 요리토모를 맞이했다.[1] 이후 요리토모에게 귀순한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등과 함께 가마쿠라에 들어갔다.[1] 후지 강 전투 이후, 헤이케 측에 가담했던 장인 이토 스케치카가 체포되자 요시즈미는 구명 탄원을 하여 그를 자신의 관리하에 두었다.[1]
요시즈미는 지바 쓰네타네, 가즈사 히로쓰네, 도이 사네히라 등과 함께 요리토모의 숙로(宿老)로서 중용되었으며, 이치노타니 전투, 단노우라 전투, 오슈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무공을 세웠다. 1190년, 요리토모 상경 시 우콘에노다이쇼 배하 포의(布衣) 시종 7인 중 한 명으로 참진(参陣)을 수행했다.[7] 요리토모에게 고케닌 10명의 성공 추천을 받았으나, 아들 요시무라(義村)에게 상을 양보했다.
2. 4. 13인의 합의제와 죽음
1199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사망한 후,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를 보좌하는 13인의 합의제 일원이 되었다.[7] 1200년 가지와라 가게토키의 변에서 가지와라 가게토키의 가마쿠라 추방에 가담하였고, 가지와라 일족이 멸망한 3일 후인 1월 23일에 74세로 사망했다.[7]3. 묘소 및 유적
요코스카시(横須賀市) 오야베(大矢部)에 위치한 야쿠오지(薬王寺) 터, 킨덴 신사(来迎寺) 오른쪽에 미우라 요시즈미의 묘가 있다.
요코스카시 구리하마(久里浜)의 스미요시 신사(住吉神社)는 요시즈미가 키누가사 성 함락 전날 밤 기원하며 깃발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.[2]
4. 관련 작품
미우라 요시즈미가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.
=== 텔레비전 드라마 ===
- 풀이 타오르다 (1979년, NHK 대하드라마) - 하야카와 유지 배역
- 가마쿠라 시대의 13인 (2022년, NHK 대하드라마) - 사토 B사쿠 배역
4. 1. 텔레비전 드라마
- 풀이 타오르다 (1979년, NHK 대하드라마) - 하야카와 유지 배역
- 가마쿠라 시대의 13인 (2022년, NHK 대하드라마) - 사토 B사쿠 배역
참조
[1]
서적
吾妻鏡
[2]
서적
吾妻鏡
[3]
문서
[4]
문서
[5]
서적
吾妻鏡
[6]
간행물
中世成立期の安房国
2017
[7]
문서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